사랑샘봉사자 칼럼 - 당신은 구원 받았습니까?(누가복음19:1-10)
예수님께서 세리장 삭개오의 집에 들어가시자 사람들은 “저가 죄인의 집에 들어갔다”라고 했다. 사람들은 왜 세리를 죄인이라 했을까? 예수님 당시 유대나라는 로마제국의 식민지배를 받고 있었다. 당시 로마제국의 식민지에 대한 세금정책은 독특했다. 로마 관리가 직접 거두지 않고 식민지 백성 중에서 사람들을 뽑아서 그들로 하여금 일정 금액을 거두어서 바치도록 했다.
그런데 그들은 정해진 금액만 거두지 않고 더 많은 금액을 거두어서 착복했다. 로마정부는 이 사실을 알면서도 눈을 감아주었다. 이유는 그래야 그들이 돈맛을 알아 충성하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세리들은 유대인들의 입장에서 보면 매국노요 민족의 반역자요 죄인 중의 죄인이었다. 사람을 지배하는 강력한 것이 두 가지가 있는데 권력과 재물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두 가지를 손에 넣기 위하여 전력을 다한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세금 거두는 사람의 권력은 대단하다. 그런데 삭개오는 그냥 세리가 아니고 세리장이다. 그러니 백성들에 대한 그의 권력은 대단했다. 그리고 그는 그 권력을 사용하여 많은 부정한 재물을 긁어모았으니 삭개오는 권력과 재물 두 가지를 다 가진 사람이었다.
처음엔 좋았다. 우월감과 성취감과 부유함에 만족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인가 삶에 대한 목마름을 느꼈다. 권력과 재물이 해결해 줄 수 없는 인생의 목마름, 그 큰 권력과 그 많은 재물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음 한쪽에는 언제나 한없는 허전함과 허무감이 있었고 뭔가 돌덩이 같은 죄책감이 짓누르고 있는 것을 느꼈다.
성경은 이런 사람을 가리켜 마음이 가난한 자라고 한다. 이런 사람은 세상 것으로 마음이 채워지지 않는다. 아무리 세상 권력과 세상 재물로 채우려고 해도 채워지지 않는다. 삭개오가 바로 이런 사람이다. 이런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말씀을 들려주면 금방 아멘 하며 받아들인다. 그래서 성경은 마음이 가난한 자가 복이 있다고 한다.
이즈음 삭개오는 예수님에 대한 소문을 듣게 된다. 열두해를 열루증으로 고통하던 여인이 예수님의 옷자락에만 손대었는데도 나음을 입었고, 일곱 귀신 들려 삶이 파괴된 여인이 예수님을 만나 사람 구실 하며 살게 되었고, 수가성의 대인기피증 걸린 죄많은 여인이 예수님을 만나 새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는 소문 등이었다.
삭개오는 생각했다. ‘이런 분이시면 내 문제도 해결해 줄 수 있겠구나. 내가 가진 이 큰 권력도, 내가 가진 이 많은 재물도 해결해 줄 수 없는 마음속의 이 허전함, 이 허무함, 이 죄책감을 해결해 줄 수 있겠구나.’
삭개오는 예수님 만나기를 사모했다. 기회가 왔다. 예루살렘을 향해 가시던 예수님께서 많은 군중들에게 둘러싸여 자기가 살고 있는 여리고를 지나가시는 중이었다. 키가 작은 삭개오는 예수님을 볼 수 없어 길가에 있는 돌무화과 나무 위에 올라가서 예수님께서 지나가기를 기다렸다.
나무 위에서 그는 생각했다. ‘예수님께서 지나가시면 나는 큰 소리로 외칠 것이다. “예수님. 내 문제를 해결해 주세요. 내 인생의 이 목마름, 마음속의 이 허전함. 이 허무함. 이 죄책감을 해결해 주세요.”
그러나 막상 예수님께서 나무 아래 오시자 그는 너무나 무서워 입이 열리지 않았다. 예수님께서 ‘삭개오 죄인 이놈!’ 하며 불호령 치실 것 같았다. 그런데 나무 위를 쳐다보시는 예수님의 표정은 너무나 부드러웠고 “삭개오야 속히 내려오너라.”
말씀하시는 예수님의 음성은 너무나 인자했다. 순간 삭개오는 깨달았다. 자기가 예수님 보기를 그토록 소원했는데 예수님은 자기보다 더 자기 보기를 소원했다는 것을. 그날 밤 삭개오는 예수님을 자기 집에 초대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명령도 안 하셨는데 스스로 자신의 어두웠던 과거를 고백하고 예수님을 구원주로 마음속에 모셨다.
“누구든지 그리스도 안에 있으면 새로운 피조물이라 이전 것은 지나갔으니 보라 새것이 되었도다”(고후5:17)
삭개오는 새사람이 되었다. 모든 것이 변화되었다. 회개하는 사람, 감사하는 사람이 되었다. 인생관이 바뀌었고 가치관이 바뀌었고 삶의 목적이 바뀌었다. 그리고 그의 운명도 영원한 죽음에서 영원한 생명으로 바뀌었다.
삭개오에게 찾아온 이 놀라운 변화, 놀라운 축복, 어떻게 왔나? 예수님을 만남으로. 삭개오는 여리고로 지나가시는 예수님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옛날 희랍의 한 거리에 이상한 동상이 있었다고 한다. 이 동상에는 날개가 있는데 날개가 어깨에 붙어있지 않고 발에 붙어있었고, 앞머리에는 머리카락이 수북이 나 있고, 뒷머리는 대머리이고, 동상 아래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
“그대의 날개는 왜 어깨에 붙어있지 않고 발에 붙어있는가? 빨리 날아가기 위하여. 그대의 앞머리에는 왜 머리카락이 수북이 나 있는가? 내가 지나갈 때 쉽게 붙잡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그대의 뒷머리는 왜 대머리인가? 지나가고 나면 붙잡을 수 없게 하기 위하여. 그대의 이름은 무엇인가? 내 이름은 기회이다.”
삭개오는 예수님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놓지지 않고 예수님을 마음속에 영접했다. 성경은 말한다. “보라. 지금은 은혜받을만한 때요 지금은 구원의 날이로다”(고후6:2)
육체가 살아 있는 지금이 바로 예수님을 만날 수 있는 기회이다. 육체가 죽고나면 그 기회는 영원히 사라지고 만다. 물에 빠져 죽어가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것은 물에서 건지움 받는 것이다.
아담의 후손인 우리 인간은 죄로 말미암아 사망의 물에 빠져, 영적으로는 이미 죽었고 육체적으로는 죽어가고 있고 그 후에는 영원한 죽음인 지옥심판에 떨어진다. 말씀과 성령으로 찾아오신 예수님을 마음속에 모셔 들이자. 그리하여 부활의 그 날을 소망하며 영원히 사는 축복 받도록 하자.
“영접하는 자 곧 그 이름을 믿는 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는 권세를 주셨으니”(요1:12)
- 2022년 9월11일 사랑샘교회 추석명절 감사예배 설교 중에서 -
글쓴이 / 강완석, 창원산성교회 원로, 사랑샘침례교회 설교목사, (사)사랑샘공동체 지도위원